H o m e     

관  직(官 職) 해  설(解 說)

 

    1. 관직과 품계

우리 선조들 중 관직과 품계를 가진 분들이 아주 많다. 이 홈을 만들면서 해당 선조께서 가지신 관직과 품계를 모두 열거하고 해설까지 곁들인바 있다. 이 홈에 관직과 품계를 모두 설명하기에는 지면상 무리이고 또 이 홈이 그 분야에 대한 전문서적도 아니므로 상식적인 범주에서 선조들의 관직과 품계의 정도를 알아볼 수 있도록 대강을 서술 하였다.

       

      ㉮ 삼국시대

삼국시대에 밀성박씨와 관련된 관직은 신라(新羅)와의 관련이 절대적 이다. 신라시대 관직은 골품제도(骨品制度)를 근간으로 한 귀족연합의 전통위에 형성되어 17등급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즉 1등급인 이벌찬(伊 伐瑗)에서 17등급인 조위(造位)까지 인데 이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신라(新羅)의17관등(官等)>

진골(眞骨)

골품

(骨品)

육두품(六頭品)









오두품(五頭品)













사두품(四

品)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5

4

3

2

1

 

 

 

造位조위


 

小烏소오

 


大烏대오


 

吉士길사

 


 

 


 

大舍대사

 


奈麻나마

 

 

 

 

大奈麻

대나마

 


 

級伐瑗

급벌


 

沙瑗사찬


 

 

 

一吉瑗

일길찬

 

 

 

阿瑗아찬

 

 

 

 

大阿瑗

대아찬


 

波珍瑗

파진찬


 

瑗잡찬

 

 

 

伊尺瑗

이척찬

 

 

伊伐瑗

이벌찬

 

上大等상대등

大角干대각간

大帶角干
대대각간

경관

(京官)

阿尺아척

彼日피일

日尺일척

一伐일벌




干 간 . 次干차간

上干상간

撰干찬간

高干고간

述干술간

獄干옥간










외관

(外官)

황의(黃衣)

靑衣

(청의)

자의(紫衣)

자의(紫衣)

공복

(公服)

     

    < 고구려(高句麗)의 관등(官等) >

① 대대로(大對盧)

② 태대형(太大兄)

③ 대형(大兄)

④ 소형(小兄)

⑤ 의후사(意侯奢)

⑥ 오졸(烏拙)

⑦ 태대사자(太大使者)

⑧ 대사자(大使者)

⑨ 소사자(小使者)

⑩ 욕사(褥奢)

⑪ 예속( 屬)

⑫ 선인(仙人)

⑬ 욕살(褥薩)

고구려 관등은 당서(唐書)와 수서에는 12관등으로 나타나고 한원에는 14관등, 주서에는 13관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주서의 자료에 의하였다.

 

    < 백제(百濟)의 관등(官等) >

1품 - 좌평(佐平) →관복(官服)은 자복

2품 - 달솔(達率) 〃

3품 - 은솔(恩率) 〃

4품 - 덕솔(德率) 〃

5품 - 한솔(率) 〃

6품 - 나솔(奈率) 〃

7품 - 장덕(將德) →관복(官服)은 비복

8품 - 시덕(施德) 〃

9품 - 고덕(固德) 〃

10품 - 계덕(季德) 〃

11품 - 대덕(對德) 〃

12품 - 문독(文督) →관복(官服)은 청복

13품 - 무독(武督) 〃

14품 - 좌군(佐軍) 〃

15품 - 진무(振武) 〃

16품 - 극우(剋虞) 〃

   백제의 관등은 삼국사기, 주서, 복사에 나타난 자료에 의하였다.

 

    ㉯ 고려시대

ㅇ고려조에 밀성박씨의 많은 후손들이 대대로 벼슬길에 등용되었다. 선조들 가운데 학식과 덕망을 갖춘 분들이 많은 관계도 있겠지만 밀성 박씨는 신라 경명왕의 장자 후손일 뿐만 아니라 고려가 신라를 병합 할 때 무력에 의하지 않고 경애왕(경명왕의 동생)의 외사촌 동생뻘 되는 김부(경순왕)가 스스로 나라를 들어 고려에 귀부 했으니 고려로서는 그 공덕을 기리지 않을 수 없었으며 문벌이나 지역정서를 고려하여 박씨나 김씨를 우대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ㅇ고려 때는 신라의 골품제도를 폐지하고 중앙집권적인 3성 6부 제도를 확립하여 1품에서 9품까지 계를 두었다. 3품까지는 정(正). 종(從) 2등 급으로 나누고 4품 부터는 다시 상(上). 하(下)로 나누어 총 29계(階)였으며 왕의 최고 고문격인 3사(三司). 3공(三公)이 있었는데 정 1품이었 다.

ㅇ따라서 고려 관직에 관하여 약술하면 고려관직은 문산계(文散階), 무산계(武散階), 향직(鄕職)으로 대별되며 이는 곧 문신, 무신, 지방장관을 뜻한다. 또 내직(京職)을 문관인 동반과 무관인 서반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동반은 3성 6부외 57개의 부서로 갈라지고 서반은 2군 6위 외 4개 부서로 나누어진다. [11대 문종 때 기준]

*동반(東班): 3성 6부

[3 성]

-상서성(尙書省 : 장은 상서령(尙書令)으로 백관을 총령한다.

-문하성(門下省) : 장은 시중(侍中)으로 중앙 의정기관 이며 왕명의 출납과 중신의 핵주(劾奏)를                            맡는다.

-중서성(中書省):장은 중서령(中書令)이며 왕명을 문서화 하는 기관이다.

.중서 문하성의 장(長)다음은 정2품 평장사(平章事), 참지정사(參知 政事), 정당문학(政堂文學),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등이 있고 그 아래 정3품으로 좌, 우상시(左, 右常侍),종3품 직문하(直門下) 순 이며.

.상서성의 장(長) 다음은 정2품 좌, 우복아(左,右僕射), 종2품 지성사(知省事), 종3품 좌, 우승(左,右丞) 순이다.

[6 부]

이부(吏部), 호부(戶部), 예부(禮部), 병부(兵部), 형부(刑部), 공부 (工部)로 나누며 장은 지금의 장관격인 판사(判事)로 종1품이며 부(副)는 정3품인 상서(尙書)다. 다음은 종3품 지부사(知部事),정4 품 시랑(侍郞), 정5품 낭중(郎中) 순이다.

*서반(西班)

2군:응양군(鷹揚軍), 용호군(龍虎軍)으로 나눈다.

6위:좌우위(左右衛), 신호위(神虎衛), 흥위위(興威衛), 금오위(金吾衛), 천우위(千牛衛), 감문위(監門衛)로 나누는데 장(長)은 정3품인 상장군(上將軍)이며 대장군(종3품), 장군(정4품), 중랑장(정5품), 랑장(郞將정6품), 장사(長史종6품), 별장(別將 정7품) 순이다.

ㅇ고려조에서 고위직에 벼슬한 선조는 대개 3성에 소속하며 하위직은 3 성 6부외 57개 부서에 속한다. 또 향직으로 비교적 규모가 적은 고을의 장관을 지낸 분들도 계신다.

     

    <고려 관직 요약도표>

관서명

삼사

三師

삼공

三公

중서.문하성

中書.門下省

상서도성

尙書都省

6부-

吏,戶,禮,兵,刑,工

정1품

-태사

太師

-태전

太傳

-태보

太保

-대위

大衛

-사도

司徒

-사공

司公



*일정치 않으나 대체로 아래와 같음


종1품



-중서령(中書令):1명

-문하시랑(門下侍郞):1명

-상서령

尙書令

-판사(判事)

정2품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중서평장사(中書平章事)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좌복아

左僕射

-우복아

右僕射


종2품



-참지정사 (參知政事)

-정당문학 (政堂文學)

-지문하성사 (知門下省事)

-지성사

知省事


정3품



-좌상시(左常侍) -우상시 (右常侍)


-상서(尙書)

종3품



-직문하(直門下)

-좌승(左丞)

-우승(右丞)

-지부사

知府事

정4품



-좌간의대부 (左諫議大夫)

-우간의대부 (右諫議大夫)


-시랑

侍郞

종4품



-급사중 (給事中)

-중서사인 (中書舍人)



정5품




-좌사랑중

左司郞中

-우사랑중

右司郞中

-랑중

郞中

종5품



-기거주 (起居注)

-기거랑 (起居郞)

-기거사인 (起居舍人)



정6품



-좌보궐 (左補闕-)우보궐 (右補闕)

-좌사원외랑

左司員外郞

-우사원외랑

右司員外郞

-원외랑

員外郞

종6품



-좌습유 (左拾遺)-우습유 (右拾遺)



정7품






7품



-문하록사( 門下錄事)

-중서주서 (中書注書)

-도사(都事)


정8품






종8품






정9품






종9품






       

      ㉰ 조선시대

조선에 들어 와서는 초기에 고려시대의 제도를 답습하다가 왕권이 신장되면서 강력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갖추고 1 품에서 9품까지로 관직을 정하고 다시 정(正). 종(從)으로 나누어 18품계의 관제로 하였다.

시조왕 47세 이하 선조들의 관위(官位)는 조선시대에 해당함 으로이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해서는 다음의 관직 품계표를 참고하여야 한다.

     

    朝鮮官職 品階表

구분

堂 上

當 下

參 上

參 下



正三品

正三品

正七品

從七品

正八品

從九品

東班

祿


上輔國崇祿大夫



輔國崇祿大夫

 

崇祿大夫

崇政大夫

正憲大夫

資憲大夫

 

嘉靖大夫

嘉善大夫

通政大夫

通訓大夫

中直大夫

中訓大夫

奉正大夫

奉烈大夫

朝散大夫

朝奉大夫

通德郞

通善郞

奉直郞

奉訓郞

丞議郞


丞訓郞



宣敎郞

宣務郞


務功郞


啓功郞


通仕郞

承仕郞


從仕郞


 

西班








折衝將軍

禦侮將軍

建功將軍

保功將軍

振威將軍

昭威將軍

定略將軍

宣略將軍

果毅校尉

忠毅校尉

顯信校尉

彰信校尉

敦勇校尉

進勇校尉

勵節校尉

秉節校尉

迪順副尉

奮順副尉

丞義副尉

修義副尉

力副尉

展力副尉

 

外命婦

文武官妻

왕비모친府


 

 

貞敬夫人

 

奉保夫人

貞敬夫人

 

 

 

 

 

 


淑人

 

 


令人

 

 



令人




恭人


宜人


宜人

安人

安人


端人


孺人

東班




















共職郞

勵直郞

謹任郞

任郞

奉務郞

丞務郞

勉功郞

赴功郞

殿勤郞

展勤郞

西班




















奉主校尉

修仕校尉

顯功校尉

迪功校尉

勝勇副尉

宣勇副尉

猛健副尉

壯健副尉

丞力副尉

勤力副尉

士官職

東班

















通義郞


奉議郞


宣職郞


奉職郞

熙功郞

注功郞

供務郞

職務郞

啓任郞

試任郞

西班

















建忠徒尉


勵忠徒尉


建信徒尉


勵信徒尉

敦義徒尉

守義徒尉

奮勇徒尉

勇徒尉

勵力徒尉

彈力徒尉

 

    <다음은 한문으로 된 품계를 한글 발음으로 고친 것이다>  

    조선관직 품계표

구분

당상

당하

참상

참하



정삼품

정삼품

정칠품

종칠품

정팔품

종구품

동반


상보국숭록대부



보국숭록대부

 

숭록대부

숭정대부

정헌대부

자헌대부

가정대부

가선대부

통정대부

통훈대부

중직대부

중훈대부

봉정대부

봉렬대부

조산대부

조봉대부

통덕랑

통선랑

봉직랑

봉훈랑

승의랑


승훈낭



선교랑

선무랑

무공랑

계공랑

통사랑

승사랑

종사랑

장사랑

서반


 

 







절충장군

어모장군

건공장군

보공장군

진위장군

소위장군

정략장군

선략장군

과의교위

충의교위

현신교위

창신교위

돈용교위

진용교위

여절교위

병절교위

적순부위

분순부위

승의부위

수의부위

효력부위

전력부위

외명부

문무관처

왕비모

^

정경부인

봉보부인

정경부인

 

 

 

 

숙부인

 

 

 


 

 


영인

 

 




영인

 

 



 

 



공인

 

 


의인

 

 


의인

 

 

안인

 

 

안인

 

 


단인

 

 


 

 

잡직

동반

 

 

 

 

 

 

 

 

 

 

 

 

 

 

 

 

 

 

 

 

공직랑

여직랑

근임랑

효임랑

봉무랑

승무랑

면공낭

부공랑

전근랑

 

서반

 

 

 

 

 

 

 

 

 

 

 

 

 

 

 

 

 

 

 

 

봉주교위

수사교위

현공교위

적공교위

승용부위

선용부위

맹건부위

장건부위

승력부위

사관직

동반

 

 

 

 

 

 

 

 

 

 

 

 

 

 

 

 

 

통의랑


봉의랑


선직랑


봉직랑

희공랑

주공랑

공무랑

직무낭

계임랑

시임랑

 

서반

 

 

 

 

 

 

 

 

 

 

 

 

 

 

 

 

 

건충도위


여충도위


건신도위


여신도위

돈의도위

수의도위

분용도위

효용도위

여력도위

탄력도위

 

 

 

 

 

 

 

 

 

 

 

 

 

 

 

 

 

 

 

 

 

 

 

 

 

 

 

 

 

 

 

 

     

    1.관직(官職)의 정식(正式) 명칭(名稱)

  • 계(階). 사(司). 직(職)의 순서에 의한다.

      - 영의정(領議政)을 예로 하면 다음과 같다.

          。 보광대국 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계(품계를 말함)

          。의정부(議政府)-- 사(관청을 말함)

          。영의정(領議政)-- 직(직책을 말함)

    2. 관직의 행(行). 수(守) 법

  • 품계가 높고 관직이 낮을 때 : 중간에 행(行)자를 넣어 호칭한다.

           <종1품이 정2품직인 호조(戶曹)의 판서(判書)될 때>

      -숭정대부(崇政大夫) 행(行) 호조(戶曹) 판서(判書)라고 함.

         。품계가 낮고 관직이 높을 때 : 중간에 수(守)자를 넣어 호칭한다.

            <종2품이 정2품직인 홍문관(弘文館)의 대제학(大提學)일 때>

      -가선대부(嘉善大夫) 수(守) 홍문관(弘文館) 대제학(大提學)이라고 함.

    3.증시(贈諡) : 종친(宗親)과 문. 무관이 실재 직책으로 2품 이상의 고위 층일 때 그 사후에 왕이 시호(諡號)를 내리는 것(經國大典). 후에 점차 범위가 확대되어 대제학(大提學), 유현(儒賢), 사절인(死節人), 표저자(表 著自)는 정3품이 못되더라도 증시(贈諡)를 특허했다(續大典)

    4.증직(贈職) - 관료(官僚)의 영전(榮典)임

    ①명유(名儒), 절신(節臣), 또는 왕실의 사친(私親)에게 품직 (品職)을 사후(死後)에 추증(追贈)    하는것.

    ②고관(高官)의 부친에게 품직을 추증 하는 것.

    ③명을 받들어 외국여행에 나갔다가 이역 땅에서 사망한 자에게 품직을 추증 하는 것 등이 있   었다.(奉命出彊 身沒異域)

    - 사관직(士官職)

    사관의 문직(文職-동반)은 관찰사(觀察使)가 선발하고 무직(武職)은 절도사(節度使)가 선발하여 임명했음.

    - 절도사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의 준말이며 종2품의 무관직이    다.

    - 관찰사 : 외관직 문관의 종2품 벼슬. 지방장관으로 경찰권, 사법권, 징세권등 행정상 절대적    권한을 가짐.

     다음에는 조선관직중 기본적인 몇 가지를 도표화했다. 앞으로 선조들의 관위를 이해하는데 참고      하기 바란다.

     

    朝鮮官職 表

 

구분

堂 上

當 下

參 上

參 下

正 三 品

正三品

正七品

從七品

正八品

從九品


領議政1

左.右議政1

左贊成1

右贊成1

左參贊1

右參贊1







舍人1





檢詳1









司諫1




漢城府






判尹1


左尹1

右尹1







庶尹

1




判官1






參軍3






五衛

都摠府





都摠管


副摠官








經歷

4




都事4












義禁府




判事


知事


同知事








經歷




都事













司憲府

 







大司憲



1



執義


1

掌令


2



持平


2



監察

24









司諫院










大司諫1


司諫


1





獻納


1




1









中樞府


領事


1

判事


1

知事


6

同知事



7

僉知事8






經歷


1



都事


1











五衛

 



將 12명


上護軍

9

大護軍


 

14

護軍


副護軍


5

4

司直


1

4

副司直


1

2

3


1

5

2

5

1

7

6

司正

5

副司正

3

0

9

司猛16

副司猛

4

8

3

司勇4

2

1

9

3

9

承文院


都提調


3

提調

副提調

判敎

2

參敎


1



校勘


1



校理


2

校檢

2



博士2


著作2


正字2

副正字1

成均館

 





知事1


同知事


1

大司成1


司成2


司藝3




直講4




典籍13




博士2


學正3


學錄3

學諭3

禮曹

吏曹





判書


1

參判


1

參議1








正郞


3



佐郞


3









戶曹

 





判書


1

參判


1

參議1








正郞


3



佐郞


3

算學敎授1

別提2


算士1


計士2

算學訓導1

會士2

刑曹






判書


1

參判


1

參議1








正郞


3



佐郞


3

律學敎授1

別提2


明律1


審律1

律學訓導1

檢律1

구분

堂 上

當 下

參 上

參 下

正 一 品

從 一 品

從 二 品

正 三 品

正三品

從 五 品

正 六 品

正七品

從七品

正八品

從九品

지관







觀察

使



都護

府使



郡守




縣令




縣監














府尹






























牧使


使


牧使

,

水使

,

兵馬節度使

,

水軍

節度使

 

使

使


使

 





評事


敎授

 

察訪

 

兵馬節制  都尉


 

 






驛丞

 

渡丞

訓導

權管







兵使






















구분

1

1

2

2

정3

정3

3

4

4

5

5

6

6

정7

종7

정8

종8

정9

종9

    

    <다음은 한문으로 된 관직을 한글 발음으로 고친 것이다>  

    조선관직 표

구분

당 상

당 하

참 상

참 하

 

정 삼 품

정삼품

정칠품

종칠품

정팔품

종구품


영의정1

좌.우의정1

좌찬성1

우찬성1

좌참찬1

우참찬1







사인1





검상1









사간1




한성부






판윤1


좌윤1

우윤1







서윤1




판관1






참군3






오위

도총부





도총관


부총관








경력4




도사4












의금부




판사


지사


동지사








경력




도사













사헌부

 







대사헌



1



집의


1

장령


2



지평


2



감찰

24









사간원










대사간1


사간


1





헌납


1



정언


1









중추부


영사


1

판사


1

지사


6

동지사



7

첨지사8






경력


1



도사


1












오위

 



장 12명


상호군9

대호군


1

4

호군


부호군


5

4

사직


1

4

부사직


1

2

3

사과


1

5

부장

2

5

부사과

1

7

6

사정

5

부사정

3

0

9

사맹1

6

부사맹

4

8

3

사용4

2

1

9

3

9

구분

당상

당하

참상

참하

정 삼 품

정삼품

정칠품

종칠품

정팔품

종구품

승문원

 

도제조


3

제조

판교

2

참교


1




1



교리


2

교검

2



박사2


저작2


정자2

부정자1

성균관

 





지사1


동지사


1

1


사성2


사예

3




직강4




전적1

3




박사2


학정3


학록3

학유3

예조

이조





판서


1

참판


1

1








정랑


3



좌랑


3










호조

 





판서


1

참판


1

1








정랑


3



좌랑


3

산학교수1

별제2


산사1


計士2

산학훈도1

회사2

형조






판서


1

참판


1

1








정랑


3



좌랑


3

율학교수1

별제2


명율1


심율1

율학훈도1

검율1

지관







관찰



도호부사



군수




현령




현감







 







府尹





















 









목사


판목




목사

 

수사

 

병마도사

 

수군

도사









평사


교수

 

찰방

 

병마

절제도위


 

 






역승

 

도승

 

훈도

 

권관







병사






















1

1

2

2

정3

정3

3

4

4

5

5

6

6

정7

종7

정8

종8

정9

종9

 

◎관서와 관직을 합하면 수백 종에 달하므로 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다.

비록 선조들의 관위가 위 관직표에 없을 지라도 그때그때 상세히 설명을 해놓았음으로 염려할 필요는 없다.

◎다음은 옛날의 관직과 오늘날의 관직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오늘의 우리 사회는 고도의 분화사회 이기 때문에 관등만으로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나 인격을 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직의 종류도 다양하다. 또한 옛날과 오늘은 시대가 다르므로 관등의 권한이 같지도 않다. 그러나 관등과 행정체제는 옛과 오늘날이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조선시대의 관등과 오늘날의 관등을 도표화하여 선조들이 역임하신 관등이 오늘날의 어느 지위와 비슷한지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2. 고금 관작(古今官爵) 대조표(對照表)

기관

계급

입법부

중앙정부

지방정부

사법부

군인

경찰

대학

정부투자기관

문교부

일반

행정

조선

품계


국회

의장

대통령


대법

원장







 

 



국무총리









영의정

우의정

좌의정

정1품



부총리









좌찬성

우찬성

종1품



장관

차관

도지사

대법원판사

대장

경찰청장



장관

차관

교육감

장관

차관

판서

좌참찬

우참찬

정2품



차관보

시장.군수

법원장검사장

중장


학장



차관보

참판

관찰사

종2품

1급


관리관


2호이상

판검사

소장


주임

교수

관리관

관리관

관리관

참의

목사

 

도호부사

당상관

정3품

2급


이사관


4호이상

판검사

준장

치안정감

교수

이사

부교육감

이사관

집의

사관

종3품

3급


부이사관


6호이상

판검사

대령

치안감

부교수

이사3년이하


부이사관

군수

사인

장령

정4품






중령






경력

첨정

종4품

4급


서기관

(과장)

부군수

9호이상

판검사

소령

경무관총경

경정

조교수

부장

교장6호이상

서기관

현령

판관

지평

정5품

정랑

교리

종5품

5급


사무관

(계장)

과장

(면장)


대위


전임

강사

과장

(차장)

교감9호이상

사무관

 

좌랑

감찰

정6품

 

 

 

 

 

 

 

 

 

 

 

현감

찰방

종6품

6급


주 사

주사

(계장)


중위

경감

경위

전임강사2년미만

계장

(대리)

21호이상

주사

박사

정7품

7급


주사보

주사보


소위준위

경사

조교


30호이상

주사보

직장

저작

종7품

정8품

8급


서기

서기


상사중사

경장



31호이하

서기

정사

훈도

정9품

9급


서기보

서기보


하사

순경




서기보

참봉

종9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