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철구 사문중 총람은 신라시조왕 65세 손이신 밀양박공(密陽朴公) 휘(諱) 철구(哲求 ) 공(公)을 모시는 사문중 관련 사항입니다. |
||||||||||||||||||||||||||||||||||||||||||||||||||||||||||||||||||||||||||||||||||||||||||||||||||||||||||||||||||||||||||||||||||||||||||||||||||||||||||||||||
박철구 공과 이하 자손들의 묘소는 상하면 석남리 1375-1(전)과 1380-17(전)에 모셨는데 2014년 7월 5일 묘를 모두 파묘 화장하여 전북 고창군 상하면 석님리 산 35 송라 대문중 선산에 평장묘로 이장하였습니다. 상하면 석남리 갈산마을 안터에 모셔진 철구 공의 부모와 조부모님 묘소도 함께 이장하였습니다. 사문중 유골 이장 작업 중 ↑ 이장 작업 완료 후↑ 산소 이장후 제사를 올림(2014.07.05)↑ 이장에 참가한 일가들 ↑ <박철구 공 사문중 묘소 대문중 선산 이장 전 상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愚溪 朴公 諱 哲求 墓域 案內 우계 박공 휘 철구 묘역 안내 박철구(朴哲求) 공(公)께서는 신라시조왕 박혁거세(朴赫居世)의 65세손이요 신라 54대 경명왕의 첫 왕자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 忱 )의 36 세(世) 손이며 고려 중엽에 도평의사(都平議事)를 지내신 박언상(朴彦祥)의 29세(世) 손이고 돈재공(遯齊公) 박연생(朴衍生)의 19 세(世)손이다. 옛날 장사(長沙) 땅이던 이곳 갈산부락 뒤 망태동의 양지바른 언덕에 철구공과 공의 자손의 묘를 함께 모셨으니 이에 대한 직계 선조의 내력을 살피면 - 고려말에 밀성대군(密城大君) 15 세손이요 도평의사공(都平議事公)8 세손인 박 거인(朴居仁)께서 소감(少監) 벼슬을 하시던 중 인의현(仁義縣)으로 내려와 사시다가 근처 태산현(泰山縣)으로 옮겨 4대가 살았는데 지금의 전북 태인(泰仁) 지방이다. 거인(居仁)의 손자 덕명(德明)은 서기 1402년(조선 태종2년) 무을과(武乙科)에 합격하여 승의부위(承議副衛)라는 무관벼슬을 지내시고 호익순위사(虎翼巡衛司)에서 우영부사정(右領副司正)을 벼슬을 하셨으며 증손자 연생(衍生)은 그 유명한 돈재공(遯齋公)이신데 조선 6대왕 단종(1453년-1455년)때 충무시위사 대호군(忠武 侍衛司 大護軍) 벼슬을 지내셨다. 돈재공(遯齋公)은 평소 친하던 수양대군이 계유정난(癸酉靖難)을 일으켜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한양을 떠나 태인에서 아버지를 모시고 장성으로 내려가 충의(忠義)를 지키시니 밀성박씨 돈재공파 일문이 장성군 황룡면 아치실에 뿌리를 내렸다. 돈재공(遯齊公) 8 세손 박 윤광(朴允洸)께서 병자호란(1636년)을 맞아 흥덕(興德)에 의병소(義兵所)를 베풀고 병량(兵糧)을 모아 군사들을 원조하신 바 있는데 이를 계기로 윤광(允洸)의 손자 박형노(朴亨老)께서 작은아버지들을 따라 장성으로부터 흥덕현 세곡(신림면 세곡)으로 이거 하여 4대를 어어 오다가 형노(亨老)의 증손 박 원양(朴 元陽)께서 1750년 무렵 지금 상하면의 전신인 장사현(長沙縣)으로 오셔서 이곳 갈산에 정착하여 주경야독으로 가업을 이루시니 자에 문진(文眞)이요 손에 성수(成秀)며 증손에 만엽(萬燁)과 만필(萬弼)인데 이 분들 대에 이르러 자손이 번창하여 100여 호 박씨 일촌(一村)을 이루게 되었다. 만필(萬弼)공(公)의
장자는 종용(宗容)이요 장손자는 균업(均業)인데 균업공은 바로 철구공의
아버지가 되신다. 철구공은 5남 3여를 두셨는데 그간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철구공과 공의 아들들의 묘를 1988년 양력 6월 5일 후손들이 합심하여 망태동에 선산을
마련하고 한곳에 모시어 분향하게 되었고 2001년 6월 2일 전체 묘소의
위치를 북쪽으로 이동하여 지금과 같이 단장하였으니 선영을 모심에 있어 다행한
일이다. <사진은 망태동 선산 박철구 공의 묘에서 갈산 천룡을 바라본 정경이다. 공의 묘앞 4기의 묘는 공의 아들들의 묘다> |
||||||||||||||||||||||||||||||||||||||||||||||||||||||||||||||||||||||||||||||||||||||||||||||||||||||||||||||||||||||||||||||||||||||||||||||||||||||||||||||||
2001년 윤달을 기해 상하면 갈산 뒤 망태동에 있는 문중선산을 정비하고자 지난 4월 29일 휘(諱) 철구(哲求) 할아버님 기일에 문중이 모여 다음과 같이 의논하였습니다. 우리 문중원께서는 전원 동참하여 당면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이는 필자가 문중원에 보낸 통지문임> ■ 위 치 : 갈산 뒤 망태동(망태골) 선산 ■ 일 시 : 2001년. 6월 2일(토), 일출 후 일몰 전 ■ 정 비 : 휘(諱) 철구(哲求)이하 8기 이장. ■ 소요예산 : 6,330,000원(세부내역 -별첨) ■ 사업비 분담 ○ 납부대상자 박귀식, 박정현, 박귀선, 박정호, 박정환, 박재홍, 박홍관, 박진호, 박금섭, 박동화, 박동일, 박종준, 박병섭 ○개인별 부담액 -500,000원 [1인 500,000원×13인 = 6,500,000원] ■ 사업비 납부처 - 계좌번호: 농협 537-06-004621 (박 금 수) ■ 사업비 납부일자 -2001년 5월 25일 한 위 계좌번호로 기일 지켜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 연락처 : 011-9734 -1657 밀양박공
휘 철구 공 4세손 박귀식 <소요예산 세부내역>
|
||||||||||||||||||||||||||||||||||||||||||||||||||||||||||||||||||||||||||||||||||||||||||||||||||||||||||||||||||||||||||||||||||||||||||||||||||||||||||||||||
상하면 갈산 뒤 망태동에 있는 휘(諱) 철구(哲求) 할아버님이하 선영 묘소를 정비하는데 우리 문중 가족이 적극 협조함으로서 산소 이장 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져 선산의 면모를 일신하고 가문의 위상을 선양하게 되었습니다. 이점 문중 가족 여러분들과 더불어 가슴 뿌듯하게 행각하며 아울러 이번 사업에 물심양면으로 협조하여주신 모든 분들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어서 이번 사업 결과와 향후 묘역을 관리함에 있어 우리 문중 가족 전원은 선산이 훌륭하게 관리되도록 적극 동참하여 주시기를 다시금 당부 드립니다.
■ 위 치 : 갈산 뒤 망태동(망태골) 선산 ■ 일 시 : 2001년. 6월 1일 ∼6월 2일(토) ■ 정비내역 : 휘(諱) 철구(哲求)이하 산소 10기 이장. 선산 정비결과에 대하여 조상님들에 대한 호칭은 편의상 필자를 기준하여 정리코자 한다. 선산 맨 위에 증조부(박철구공)님을 모시고 바로 아래 조부님 4분을 모셨다. 그리고 그아 래 숙부(박삼섭) 한 분을 모셨다.
그리고 분묘의 광중 배치내역과 묘문 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조부 -諱, 哲求(중앙에 모심). 配, 海州崔氏(증조부님 왼쪽). 配, 慶州崔氏(증조부님오른쪽) -묘 앞에 상석을 놓고 자손을 기록 함 -묘문 --→愚溪 密陽朴公 哲求之墓 配 海州崔氏 配 慶州崔氏 우계 밀양바공 철구지묘 배 해주최씨 배 경주최씨 ◈조 부 △ 諱, 來昊(래호). 配(배), 驪興閔氏(여흥민씨)(조부님 왼쪽). △ 諱, 來弼(래필). 配(배), 光山金氏(광산김씨)(조부님 왼쪽). △ 諱, 來洽(래흡). 配(배), 密陽孫氏(밀양손씨)(조부님 왼쪽). △ 諱, 來春(래춘). -묘 앞에 각각 상석을 놓지 않고 중앙에 위 네 분을 일괄 하여 모시는 상석을 놓음 -묘문--→密陽朴氏 遯齊公派 祭壇(밀양박씨 돈재공파 제단) -각 묘 측면에 휘(諱)와 배(配) 및 자손을 밝히는 표석을 세움 ◈숙 부 -諱, 三燮. -묘 측면에 휘(諱)와 자손을 를 밝히는 표석을 세움
■예산사용내역
■ 사업비 납부현황 ○ 총 납 부 액 -7,500,000원 ○ 납부대상자별 -6,500,000원 박진호, 박금섭, 박동화, 박동일, 박종준, 박병섭, 박귀식, 박정현, 박귀선, 박정호,박정환, 박재홍, 박홍관, (이상 각 500,000원) ○ 출가자별 -1,000,000원. 박말순(100,000),박난초(100,000),박삼순(100,000),박영례(100,000)
박은숙(100,000),박미숙(100,000),박미자(100,000),박화자(100,000), 박춘자(100,000),박태자(100,000)
|
||||||||||||||||||||||||||||||||||||||||||||||||||||||||||||||||||||||||||||||||||||||||||||||||||||||||||||||||||||||||||||||||||||||||||||||||||||||||||||||||
■ 추가사업내용 (총 2,138,000원 소요) ○막사포설 - 완료 묘역의 여유공간에 막사를 포설하여 문중이 주차시설로 사용하는 한편 외부인들이 함부로 묘역을 침범치 않도록 함 -소요비용 : 300,000원[3차(30㎥)×100,000원] ○경계석설치 - 완료 묘역의 도로 양측에 경계석을 설치하여 차량들이 묘역 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 -소요비용 : 500,000원[2면×250,000원] ○막사부설 및 경계석 설치 토공작업 - 완료 -소요비용:110,000원[0.2㎥×0.5일×230,000원] ○묘역 안내판 설치 묘에 비석을 세울 수 없음으로 대신 묘역 밖 입구에 문화재 안내판과 같은 재질로 안내판을 세워 선영의 내력을 밝히고 신라 시조 왕으로부터 계보와 대문중 선산 요도를 표시하여 후손들로 하여금 문중의 내력을 명쾌하게 알 수 있도록 함. -소요비용:1,228,000원[1.5m×2m,
철재 안내판] ■
사업비 정산 ○총
모금액 - 7,500,000원 ○총 지출액 - 8,085,500원 *
1차 정산 : 7,500,000원-8,085,500원= -585,500원(부족액)
○추가사업비
- 2,138,000원 ○향후소요액
- 2,723,500원(=2,138,000원+585,500원) ○개인별부담액
- 209,500원(=2,723,500원÷13명) ○향후
개인별 납부액 - 3,250,000원(=250,000원×13명)
향후 개인별 부담이 209,500원 이면 족하나 당분간 묘역을 관리 보수할 필요가 있음으로 526,500원을 여유 있게 하고자 함이니 문중원 여러분은 생활에 어려움이 다소간 따를지라도 250,000원씩을 아래 계좌로 2001년 6월 20일까지 납부하시어 묘역정화사업이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이 내용은 이미 지나간 사항임>
■ 사업비 납부처 ○계좌번호: 농협 537-06-004621 (박 금 수) ■ 연락처 : 011-9734 -1657(박 귀식) <선산 묘역 배치도>
|
||||||||||||||||||||||||||||||||||||||||||||||||||||||||||||||||||||||||||||||||||||||||||||||||||||||||||||||||||||||||||||||||||||||||||||||||||||||||||||||||
신라시조왕 박혁거세(朴赫居世) 1세 |
30세 밀성대군 박언침(密城大君 朴彦침) |
|||||
47세 돈재공 박연생(遯齋公 朴衍生) |
37세 도평의사공 박언상(都評議事公 朴彦祥) |
|||||
52세 습독공 박사침(習讀公 朴士琛) |
62세 박만엽(朴萬燁) 62세 박만필(朴萬弼) |
|||||
62세 박만엽(朴萬燁) |
|
|
62세 박만필(朴萬弼) |
|
63세 항용(恒 容)→ |
64세 균철(均 澈) |
|
63세 종용(宗 容) → |
64세 균업(均 業) |
63세 진용(振 容) → |
64세 균길(均 吉) |
|
|
64세 균진(均 鎭) |
63세 희용(喜 容) → |
64세 균복(均 福) |
|
|
64세 균용(均 龍) |
|
|
|
63세 석용(碩 容) → |
64세 균열(均 烈) |
|
|
|
|
64세 균학(均 鶴) |
|
|
|
|
64세 균옥(均 玉) |
|
|
|
63세 기용(奇 容) → |
64세 균융(均 雄) |
|
|
|
|
64세 균승(均 升) |
|
|
|
|
64세 균태(均 泰) |
62세 만필(萬 弼)→63세 종용(宗 容)→64세 균업(均 業) 이하 |
65세 |
66세 |
67세 |
68세 |
69세 |
||||||||||
철구哲求 |
래호來昊 |
영섭英燮 |
귀식貴植 |
도일道一 |
||||||||||
(弼錄) |
(廷植) |
|||||||||||||
정현廷鉉 |
건일建一 |
|||||||||||||
귀만貴萬 |
||||||||||||||
삼섭三燮 |
귀선貴善 |
재중在中 |
||||||||||||
호섭豪燮 |
정호廷鎬 |
|||||||||||||
(金洙) |
||||||||||||||
정주廷柱 |
||||||||||||||
래필來弼 |
동섭東燮 |
정훈廷勳 |
||||||||||||
정환廷桓 |
||||||||||||||
남섭南燮 |
||||||||||||||
래흡來洽 |
광섭光燮 |
재홍裁弘 |
대석大錫 |
|||||||||||
(弼燁) |
||||||||||||||
대권大權 |
||||||||||||||
대진大珍 |
||||||||||||||
홍관弘觀 |
대근大根 |
|||||||||||||
진호鎭鎬 |
정미廷美 |
|||||||||||||
(女) |
||||||||||||||
정은廷恩 |
||||||||||||||
(女) |
||||||||||||||
정희廷姬 |
||||||||||||||
(女) |
||||||||||||||
래춘來春 |
금섭金燮 |
정민正民 |
||||||||||||
정인 正仁 |
||||||||||||||
동화 東樺 |
정진 正進 |
|||||||||||||
정열 貞烈 |
||||||||||||||
주섭 周燮 |
선호 善浩 |
|||||||||||||
선명 善明 |
||||||||||||||
종준 鍾埈 |
정수 正首 |
|||||||||||||
正元 정원 |
||||||||||||||
래창 來暢 |
병섭 秉燮 |
호경 鎬敬 |
||||||||||||
(女) |
||||||||||||||
호강 浩岡 |
||||||||||||||
(女) |
||||||||||||||
정근 廷根 |
||||||||||||||
|
||||||||||||||||||||||||
○ 신라시조왕(新羅始祖王, 朴赫居世) : 65 世 ○ 밀성대군(密城大君) : 36 世 ○ 도평의사공(都平議事公) : 29 世 ○ 돈재공(遯齋公) : 19 世 ○ 습독공(習讀公) : 14 世 |
||||||||||||||||||||||||
|
||||||||||||||||||||||||
[65세 철구(哲求)]------------------------------------------에서 계속 |
||||||||||||||||||||||||
↓ ↓ ↓ ↓ |
||||||||||||||||||||||||
|
||||||||||||||||||||||||
○ 신라시조왕(新羅始祖王, 朴赫居世) : 66 世 ○ 밀성대군(密城大君) : 37 世 ○ 도평의사공(都平議事公) : 30 世 ○ 돈재공(遯齋公) : 20 世 ○
습독공(習讀公) : 15 世 |
||||||||||||||||||||||||
|
||||||||||||||||||||||||
|
||||||||||||||||||||||||
|
||||||||||||||||||||||||
|
||||||||||||||||||||||||
|
||||||||||||||||||||||||
|
||||||||||||||||||||||||
|
||||||||||||||||||||||||
|
|
||
유암할아버지-철구지묘(哲求之墓)-추석성묘 모습 |
||
밀양박공 철구지묘 자좌 배 해주최씨 배 경주최씨 합조 密陽朴公 哲求之墓 子坐 配 海州崔氏 配 慶州崔氏 合兆 |
||
|
||
단줄할아버지-래호지묘(來昊之墓)-소녀는 공의 증손녀 박보름 |
||
밀양박공 래호지묘 자좌 배 유인 여흥민씨 합조 密陽朴公來昊之墓 子坐 配 孺人 驪興閔氏 合兆 |
|
밀양박공 래필지묘 자좌 배 유인광산김씨 합조 密陽朴公來弼之墓 子坐 配 孺人光山金氏 合兆 |
||
정동할아버지-래필지묘(來弼之墓) |
밀양박공 래흡지묘자좌 배 유인밀양손씨 합조 密陽朴公 來洽之墓子坐 配 孺人密陽孫氏 合兆 |
|
||
기산할아버지-래흡지묘(來洽之墓) |
|
밀양박공 래춘지묘 자좌 密陽朴公 來春之墓 子坐 |
||
풍암할아버지 래춘지묘(來春之墓) *2010년 봄 파묘 화장하였다. |
밀양박공 삼섭지묘 자좌 密陽朴公 三燮之墓 子坐 |
|
||
큰작은아버지 -삼섭지묘(三燮之墓) |
|
||
추석성묘모습 |
||
|
||
선산정면 |
||
|
||
선산측면 |
||
종중이라는
것은 한국에만 있는 특이한 친족단체로서 저절로 성립하며 또한 일정한
자의 후손이 절멸될 때까지는 절대로 소멸하지도 않는 '자연발생적 단체'입니다.
또한 개인은 출생과 동시에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여러 단계의 종중에
자연히 속하게 되며 본인이 싫다고 하여 탈퇴도 되지 않습니다. 본인이
조상으로부터 어느 단계의 문중에 속하게 되는지는 문중 재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자연발생적 단체인 문중은 사회적 실체를 가지고
법률행위를 하면서, 문중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제3자와 관련한 외부에서
많은 법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우리의 문중은
결코 쉽게 사라져 버리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문중의 긍정적인
역할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대책으로 현행법과 판례의 테두리 안에서
문중규약을
제정하여 이를 준수함으로서 법률적 환경에 적응하고 묘지가 존재하는
묘산(墓山) 등 문중재산의 효율적인 관리에 힘쓰는 가운데 조상님에
대한 제향을 잘 모셔나가야 할 것입니다. 또한 문중 구성원은
본 문중의 운영목적과 취지에 반하여 문중 상호간에 불화를 일으키거나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는 행위를 함으로서 본 문중의 위상을 실추시키고
문중의 발전을 저해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우리 문중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우리 문중의 문중규약안에
대한 훌륭한 안이 있다면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 011-9734-1657(박 귀식) |
||
|
||
망태동 둥근 초록색 원이 사문중 선산이다. 노란 원 안의 숫자표기는 대문중 선산묘지다. |
||
◆ 선산 등기 사항 |
|
연번 |
소 재 지 번 |
지 목 |
면 적 |
소 유 자 |
등 기 원 인 |
|
|
1 |
전북 고창군 상하면 석남리 1380-17 |
전 |
966㎡ |
박래복(420605-1******) |
1997.6.2매매 |
|
|
|
|
|
|
고창군 상하면 석남리 143 |
|
|
박귀식(501002-1******) |
2010.3.10 매매 |
||||||
서울강서구 화곡동 102-278 |
|
||||||
|
2 |
전북 고창군 상하면 석남리 1377-4 |
전 |
192㎡ |
박래복(420605-1******) |
1997.6.2매매 |
|
고창군 상하면 석남리 143 |
|||||||
김선화(590405-2******) |
2010.3.10 매매 |
||||||
서울강서구 화곡동 102-278 |
|
||||||
|
|
|
|
|
|
|
|
|
위 산소는 2014년 7월 5일 갈산마을 앞 송라 대문중 선산으로 이전하였습니다. 묘지 땅은 처분하여 산소 이장 비용으로 사용하였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