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덕사(遠德祀)
탐방기 -충북 옥천
|
|||||||||||||||||||||||||||||||||||||||||||||||||||||||||
2005년 4월 3일 아침 일찍 전주시에서 경기전(慶基殿) 탐방을 마치고 충북 옥천군에 있는 원덕사를 향해 차를 몰았다. 경기전 탐방을 한 것은 돈재공 5세손 수온(守溫)께서 학식과 덕망이 있어 경기전 참봉(參奉)에 제수된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원덕사는 1922년(壬戌)에 8도의 후손들이 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에 세웠는데 밀성대군의 후예인 19중조를 배향 했다고 우리의 세보에 기록되어 있다. 용방리를 찾아가는데 날씨는 흐리고 간간히 비가 내렸다. 대전에서 부산 쪽으로 조금 내려가다가 옥천 IC에서 이원면으로 향했다. 늘봄 휴게소를 지나니 칠방리가 나오기에 그 마을로 들어가 농부에게 밀양박씨 제사 모시는 원덕사를 물었다. 농부가 원덕사는 용방리가 아니고 윗동네 구룡리에 있다고 가르쳐 주었다. 구룡리에 들어가니 좁은 길이 야산 허리를 감고 돌아가는데 마치 용이 꿈틀거리고 지나간 자국처럼 느껴졌다. 동네 한 복판에 우암 송시열 유허비가 있어서 둘러보고 동네 언덕 아래에 있는 원덕사를 찾았다. 길목 언덕에 비석이 서있는데 밀성박씨세장지지(密城朴氏世葬之地)라고 새겨져 있다. 비석을 지나쳐 대밭으로 둘러 싸인 원덕사로 내려가니 넓은 잔디밭이 나오고 태극문양의 출입문이 서있는데 바로 원덕사 전경이 눈에 들어왔다. 나의 우측으로는 유연당이라 편액한 건물이 있었다. 출입 문을 열고 들어가니 바로 원덕사 본당이 나타났다. 신라 55대 경명왕의 첫 왕자 밀성대군파의 중조들을 모시고 있는데 나의 직계는 고려 문종 때 도평의사를 하신 박언상 할아버지가 모셔져 있다. 뜰 아래서 경건한 마음으로 참배하고 경내를 돌아 보았다. 오래 전부터 원덕사를 찾아가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이 날에 비로소 원덕사를 돌아보니 감회가 깊었다. 원덕사 처마에 비치한 편액을 보니 원덕사 건립에 관한 글이 있고 액자 글씨 말미에 "신라시조왕 탄강 1993년 갑자(甲子) 3월 원손 성엽 관수 근서(遠孫 性燁 盥手 謹書)"라고 써있었다. 원덕사에 한참을 머물며 깊은 생각에 잠겨 원덕사 일대를 돌아보았다. 이윽고 구룡리를 나와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밀양시로 향했다.
|
|||||||||||||||||||||||||||||||||||||||||||||||||||||||||
|
|||||||||||||||||||||||||||||||||||||||||||||||||||||||||
한편 원덕사에 대한 자료를 검토해 보니 밀성대군과 대군의 8세손 7명의 신위 및 그 후예 14명의 신위를 모셔 모두 22 중조를 모셨다. 당초 밀성대군외 19위를 모셨으나 2회에 걸쳐 2위를 추배 함으로서 22위가 되었다. ☆ 제향일 - 음력 3월1일 제향 ☆ 관리책임자 : 박 덕 보 ☆ 원덕사 밀성박씨 종친회 ☆ 고려조의 중시조(中始祖) 밀성대군을 주벽(主壁)으 로 21위를 봉안(奉安)하 고 있음 원덕사에 배향된 열선조는 다음과 같은데 그 중 청색으로 표기한 분은 밀성대군파 12중조 이시다. ☆언침(彦沈): 밀양박씨 시조. 신라 54대 경명왕의 큰아들
|
|||||||||||||||||||||||||||||||||||||||||||||||||||||||||
원덕사 사실에 대한 번역문 원덕사는 밀성대군의 신위를 봉안한 집으로 十九중조의 종향한 곳이다.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에 중구봉 아래에 있으니 곧 승지 박인령(밀성군 휘 척의 후)묘 아래요 재실의 남쪽이다. 뒤에는 선산곽씨 세거촌이 있고 앞에는 적벽강이 임하니 그 근원은 남쪽 무주 금산 등지로부터 시작되고 동쪽은 상주 영동등 군으로 부터 시작하여 심천강에 이르러 합류되어 금강으로 들어가니 남에는 월이산이 있어 구부러지고 팽박하여 심히 웅준하고 북으로는 용문서당이 수리(數里)밖에 있고 산 아래에는 송수옹갑조의 유허비와 송우암 시열의 태어난 집이 있고 서로는 옥천읍이 三十리 허에 있고 이원역이 십리 밖에 있다. 신라기원 천九백七십九년 임술년(1922년) 봄에 승지공 후손 박만구가 멀고 가까운 성손과 같이 사우지을 것을 상의하고 같은 해 동짓날에 대군의 신위를 봉안하고 이듬해 계해(1923년) 六월十九일에 十九중조를 종향토록 하고 월五十九년 임자十一월 七일 추배 일위 하고 또 十四년 갑자 十一월 동지일에 다시 추배 일위 하여
원덕사라 액호를 거니 대개 임종을 삼가히 하고 원대토록 추모하면 인심이 순후하다는 뜻을 취함이다. 매년 춘三월 一일에 합하여 제례를 행하니 축홀과 제의의식은 문묘의 석전의 의와 비슷하고 사계 명절이나 삭망에는 유사를 정하여 분향하고 위판은 대군이 주벽되고 무를 양쪽으로 나누어 중조를 차례로 모시고 년대 서차대로 종향토록 되었으니 동벽이 十一위이고 서벽이 十위이다. |
|||||||||||||||||||||||||||||||||||||||||||||||||||||||||
|
|||||||||||||||||||||||||||||||||||||||||||||||||||||||||
|
|||||||||||||||||||||||||||||||||||||||||||||||||||||||||
옥천 송우암 유허비(沃川 宋尤庵 遺墟碑) 충청북도 기념물 45호 소재지 :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구룡리> 이 비석은 우암 송시열 선생이 탄생하고 살았던 곳을 알리기 위해 정조2년(1778)에 세운 것이다. 단칸 8작지붕의 비각 안에 있다.송시열(1607-1689)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정치가로 노론의 영수이다.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이며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인조11년(1633)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봉림대군(효종)의 스승이 되었다. 병자호란 후 낙향하여 학문에 정진하다가 효종이 즉위하자 다시 기용되어 반청(反淸)의 기치로 북벌계획을 추진하였으며 현종 때에 좌의정에 올랐다. 숙종 15년(1689)에 세자책봉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제주도로 귀양 갔다. 국문을 받기 위해 상경 도중에 남인의 책동으로 정읍에서 사사되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
|||||||||||||||||||||||||||||||||||||||||||||||||||||||||
|
|||||||||||||||||||||||||||||||||||||||||||||||||||||||||
원덕사 사진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