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밀성대군 언침파(密城大君 彦派) 선세고(先世考)

 

-보라색 휘(諱)자를 클릭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여기 선세고(先世考)는 밀성박씨(密城朴氏) 시조 밀성대군 박언침(朴彦)부터 그 7세손 찬행까지의 세보(世譜)상 전해 오는 기록인데 서기1997년에 '밀성박씨 돈재공파' 종중에서 발간한 '종중요람(宗中要覽)'의 내용을 그대로 게재 하였으며 내용에 현저한 착오가 있는 부분은 홈 운영자가 임으로 수정했거나 자료를 보충하였다.

 

    01세 - 밀성대군 박언침(朴彦)

  02세

 

03세  

 

  04세

 

05세  

 

06세  

 

  07세

 

  08세

 

 09세

 

 10세

 

 11세

 

 

 

 

 

 

 

 

 

   욱(郁) 

 

 란(瀾)

 

영정(永禎)

 

기세(基世)

 

시주(施做)

 

찬행(讚行)

 

언부(彦孚)

 

효신(孝臣)

 

공필(公弼)

 

육경(育慶)

 

 

 

 

 

 

 

 

 

  

 

  

 

  

 

  

 

  

 

  

 

  

 

의신(義臣)

 

  

 

  

 

 

 

 

 

 

 

 

 

  

 

  

 

  

 

  

 

  

 

  

 

언상(彦祥)

 

양신(良臣)

 

 직    (直)

 

인경(仁卿)

 

 

 

 

 

 

 

 

 

  

 

  

 

  

 

  

 

  

 

  

 

  

 

  

 

  

 

의경(義卿)

 

 

 

 

 

 

 

 

 

  

 

  

 

  

 

  

 

  

 

  

 

  

 

  

 

  

 

신경(信卿)  

 

 

 

 

 

 

 

 

 

  

 

  

 

  

 

  

 

  

 

  

 

언인(彦仁)

 

직신(直信)

 

 창    (昌)

 

인수(仁壽)

 

 

 

 

 

 

 

 

 

  

 

  

 

  

 

  

 

  

 

  

 

  

 

  

 

 정    (晶)

 

양필(良弼)  

 

 

 

 

 

 

 

 

 

  

 

  

 

  

 

  

 

  

 

  

 

  

 

  

 

 경    (炅)

 

충필(忠弼)

 

 

 

 

 

 

 

 

 

  

 

  

 

  

 

  

 

  

 

  

 

  

 

장     (璋)  

 

원순(元淳)

 

혁공(赫公)  

 

 

 

 

 

 

 

 

 

  

 

  

 

영희(永禧)

 

추세(樞世)

 

시후(施厚)

 

유손(裕孫)

 

양언(良彦)

 

문분(文賁)  

 

영부(英富)

 

염(廉)  

 

 

 

 

 

 

 

 

 

  

 

  

 

영기(永基)

 

호    (瑚)

 

지온(之溫)

 

수강(守綱)

 

천익(天翊)

 

석화(錫華)  

 

자영(自榮) 

 

사원(士元)  

 

 

 

 

 

 

 

 

 

  

 

  

 

  

 

  

 

  

 

  

 

  

 

  

 

  

 

사형(士亨)  

 

 

 

 

 

 

 

 

 

  

 

  

 

  

 

  

 

  

 

  

 

  

 

석명(錫明)

 

구     (絿)

 

삼(蔘)  

 

 

 

 

 

 

 

 

 

  

 

  

 

  

 

  

 

  

 

  

 

  

 

  

 

  

 

전(筌)  

 

 

 

 

 

 

 

 

 

  

 

  

 

  

 

  

 

  

 

  

 

  

 

석원(錫元)  

 

승권(承權) 

 

  

 

 

 

 

 

 

 

 

 

  

 

  

 

영구(永垢)

 

련    (璉) 

 

지윤(之潤)

 

성린(成麟)

 

을재(乙在)

 

견기(堅基)  

 

회     (回)  

 

계증(繼曾)  

 

 

 

 

 

 

 

 

 

  

 

  

 

  

 

  

 

  

 

  

 

  

 

  

 

  

 

계맹(繼孟)  

 

 

 

 

 

 

 

 

 

  

 

  

 

  

 

  

 

  

 

  

 

  

 

  

 

  

 

계안(繼顔)  

 

 

 

 

 

 

 

 

 

  

 

  

 

  

 

  

 

  

 

  

 

  

 

입기(立基)

 

기     (奇)  

 

승개(承蓋)  

 

 

 

 

 

 

 

 

 

  

 

  

 

  

 

  

 

  

 

  

 

  

 

덕기(德基)

 

정구(鼎九)

 

기(璣)  

 

 

 

 

 

 

 

 

 

  

 

  

 

  

 

  

 

  

 

  

 

  

 

  

 

  

 

준()

 

 

 

 

 

 

 

 

 

  

 

  

 

영지(永址)

 

순    (珣)

 

지병(之柄)

 

성용(成龍)

 

병국(秉國)

 

정호(廷虎)  

 

곤     (坤)  

 

중화(仲華)  

 

 

 

 

 

 

 

 

 

  

 

  

 

  

 

  

 

  

 

  

 

  

 

실휘(失諱)

 

실휘(失諱) 

 

실휘(失諱)  

 

 

 

 

 

 

 

 

 

  

 

  

 

  

 

  

 

  

 

  

 

  

 

실휘(失諱)

 

실휘(失諱) 

 

실휘(失諱)  

 

 

 

 

 

 

 

 

 

  02세

 

03세  

 

  04세

 

 05세  

 

 06세  

 

  07세

 

  08세

 

 09세

 

 10세

 

 11세

 

 

 

 

 

 

 

 

 

 

박언침(朴彦)      <top>


박언침은 신라 시조왕의 삼십세손이요 신라54대 경명왕의 맏아들로 밀성대군에 봉군되었으며 우리 밀성(밀양) 박씨의 시조다. 고로 밀양땅은 우리 밀성박씨의 발상지이다.

밀성대군부에 있는 이궁대(離宮臺), 풍류현(風流峴), 세루정(洗陋亭)은 신라왕들이 거동하여 놀던 곳이라 한다.

대군이 이곳에 피봉된 것은 경명왕 큰아들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궁대는 본래 신라의 어진 사람들이 백성을 덕화하므로 동경이 태평성사에 젖었으니, 이궁대(離宮臺), 풍류현(風流峴), 세루정(洗陋亭)의 이름이 당시의 풍속와 민요에서 나온 것이다.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본조유사를 기록할 때 대군의 유적이라 하였다고 한다.

 

대군이 밀성으로 봉군된 후 자손이 살은지 천년에 지파가 번연하고 세상에 이름난 재상과 선비가 많이 탄생하였고 일국에 거족이 되었다.

대군이 아우 칠인과 같이 봉군된 사실은 신라사기에 실려서 수천년 뒤에도 형제간의 동근의 의가 밝고 깊다. 비로서 종족들이 의논을 하여 신라선원보를 간행하여 대군의 소목(昭穆 - 신주를 모시는 차례)을 밝혔다.

 

서기 1922년(壬戌)에 팔도성손들이 순의하여 원덕사[(遠德祠) - 충복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를 세우고 대군의 후예인 19중조를 배향했다. 그로부터 4년 뒤 또 밀양영남루 언덕에 모으고 또 2년 뒤 정묘년(丁卯年)에 제단을 밀양 무안리에 모으고 삼한병강도대장군 휘 욱(諱 郁)과 요동독포사 휘(諱) 란(瀾)을 아울러 삼대조를 제사하니, 이곳을 경덕재 만운각유경(景德齋 萬雲閣 ?敬)이라고 한다.

또 그후 최근에 밀양시에 밀성재를 세우니 대군을 선모하는 자손의 순성(純誠)이 뜨겁기만 하다.

(문헌) 신라사고(新羅使考)        


박욱(朴郁)      <top>


박욱은 밀성대군의 아들이다. 고려태조때 삼한벽공도대장군(三韓壁控都大將軍)을 지냈다. 그 뒤 문충공 이익재(文忠公 李益在)가 말하기를 『밀성박씨 파계가 심히 번성한데에는 대군에게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고려가 삼한을 통합한지가 오래지않으니 진무공신(鎭撫功臣)으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또응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이라 하였다.

(문헌)세보고(世譜考)

 

박란(朴)      <top>


박란은 밀성대군의 손자이며 욱(郁)의 아들이다. 고려조에 요동독포사(遼東督捕使)를 지냈다. 신라세계가 명위거장보(明衛擧章譜)에 자세히 실려있고 고려조 세계에도 실려있는데 세대(世代)가 멀어졌고 사람이 또한 없어졌으니 전하기도 하고 혹 전하지 못하기도하여 상하 오백년간에 십대왕세계만쓰고 24세는 쓰지 않아 매양 한탄 하였다.

그런데 전래로 내려오는 사기(史記)를 종합하면 하나는 거장보(擧章譜)인데 시조왕 51년 갑인(甲寅) 9월에 개국공신 288인과 더불어 거장전(擧章殿)에서 만복연을 베풀었고, 또하나는 시조왕 6세손 휘(諱) 정시(正是)이 중수한것인데, 고려 혜종이 박씨후손에게 준 것을 월사 이선생(月沙 李先生)의 문집에서 상고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하 수천년 사이에 세계(世系), 휘(諱), 함자(銜字), 작위(爵位), 생졸(生卒), 배(配), 묘(墓)를 소연히 알 게 됨이다. 고려 혜종대왕은 고려 태조의 아들이고 경순왕의 백부 억겸의 외손이니 혜종대왕이 박, 김 양씨 세계에 감동함이 있어 후손에게 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연구 세심하고 병화가 첩첩하여 전하는 자가 심희 희서 하므로 이제 없으니 심히 통탄할 일이다고 하였다.

(문헌)세보고(世譜告)

 

박영정(朴永禎)      <top>


박영정은 란(瀾)의 큰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다. 묘는 낙산동(洛山洞) 을좌(乙坐)이다. 우리 세보(世譜)에는 형제(兄第) 네분의 휘자(諱字)가 밝혀져 있지않으나 박씨신라선원세계도(朴氏新羅璿源世系圖)에는 둘째 영희(永禧), 셋째 영기(永基), 넷째 영후(永? ), 다섯째 영지(永址)로 밝히고 있다. 둘재 영희(永禧)의 현손 양언(玄孫 良彦)은 밀직부사(密直副使)요, 셋째 영기(永基)의 현손 천익(天翊)은 판도판각(判圖判閣)이요, 넷째 영후(永?)의 현손 을재(乙材)는 삼사좌윤(三司左尹)이요, 다섯째 영지(永址)의 현손 병국(秉國)은 벼슬이 없다.

위 양언(良彦), 천익(天翊), 을재(乙材) 세분은 각 파 중조(各 派 中祖)로 우리 중조 언상(中祖 彦祥)과 행(行)이 같고 원덕사(遠德祠)에 배향되신 분이다. (문헌) 세보고 (世譜告)

 

<편집자 주(註)>

 

공의 묘를 낙산동(洛山洞)에 을좌(乙坐)로 모셨다고 했는데 낙산동(洛山洞)이 지금의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혹 고분군(古墳群)으로 유명한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洛山里) 산록(山麓)이 아닌지 의문을 품어본다.

 

박기세(朴基世)     <top>


박기세는 영정(永禎)의 아들로 벼슬은 합문지후(閤門祗候)이다.

(문헌) 세보고 (世譜告)


박시주(朴施做)     <top>


박시주는 휘 기세(휘 基世)의 아들이오 벼슬이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로 중국에 다녀와서 이부상서(吏部尙書)에 배(拜)하고 배는 경주최씨 평장사(平章事) 겸(謙)의 딸이다.

(문헌) 세보고 (世譜告)


박찬행(朴讚行)      <top>


박찬행은 휘 시주(諱 施做)의 아드님으로 정당문학 검교태전문하시중(政堂文學 檢校太傳門下侍中)의 벼슬을 하였다. 아들셋을 두니, 첫째 언부(彦孚)는 려조에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태사중서령(太師中書令)으로 밀성부원군(密城府院君)에 봉(封)했다. 둘째 언상(彦祥)은 오파 중조(吾派 中祖)요, 셋째 언인(彦仁)은 려조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봉 밀직군(封 密直君)이다. 삼형제(三兄第)분을 삼언(三彦)이라고도 한다.

(문헌) 고려사고(高麗史考)


 

 

 

 Copyright(c) 밀성(밀양)박씨 돈재공파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